반응형

 

 

중복들길은 삼남길의 5번째 길이며 총 8km의 거리이다. 서호와 축만제를 시작으로 황구지천의 배양교까지의 코스인데 스탬프는 거리 때문인지 항미정 1곳에서 찍을 수 있다. 이 코스의 특징은 산이 없다는 것이다. 언덕도 없다. 전체가 평지이며 시골길과 도심지를 걷는 코스다. 그렇기 때문에 딱히 힘들게 없는 코스다. 문제는 교통편이 문제지. 사실 이 삼남길을 걸으며 겪었던 좀 의외의 사실이 있는데 바로 대중교통이 생각보다 서울에만 집중되어있지 경기도권만 가도 외진 곳은 불편하기 짝이없다. 하루에 몇 대밖에 버스가 다지 않거나 아니면 배차간격이 어마어마한 수준이다. 현실적인 문제(이용 인구) 때문에 어쩔 수 없다는 걸 알지만, 정말 불편했다.

 

삼남길 제5길(중복들길)

서호공원입구 → 배양교

 

스탬프함 위치(1곳)

항미정: 항미정 앞(수원시 권선구 수인로 126)

 

경기옛길 공식홈페이지(코스 정보 및 우회길 등 실시간 안내)

경기옛길 (ggcr.kr)

 

경기옛길

경기옛길 - 역사문화탐방로 경기옛길 소개, 도보여행, 역사, 문화유산, 운영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

ggcr.kr

 

지난글: 경기옛길 삼남길 제5길(중복들길) #2

2023.10.16 - [기타] -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제5길(중복들길) #2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제5길(중복들길) #2

중복들길은 삼남길의 5번째 길이며 총 8km의 거리이다. 서호와 축만제를 시작으로 황구지천의 배양교까지의 코스인데 스탬프는 거리 때문인지 항미정 1곳에서 찍을 수 있다. 이 코스의 특징은 산

koolsoul.tistory.com

 

시작(2023. 4. 8.)


코스 끝까지 서호천을 따라 걷는다.

 

홍매화 나무?

 

사람이 많이 없어서 좋았던 길

 

학교 같이 보이는 데 '서호청개구리마을'이라고 한다.

서호초등학교내에 있는 청소년 수련 시설을 말하는듯

 

고목에 메달아 놓은 삼남길 리본

 

형제 버드나무.

삼남길 코스 안내 표시

 

우측으로는 국립식량과학원이다.

부지가 어마어마하게 컸다. 수원수목원도 있고 농업유전지원센터 등 여러 기관들이 같이 있는 것 같았다.

 

성자교.

반응형

서호천따라 걷는 길..

 

SK그룹의 고향, 수원

서호와 옛 수인선 철도 사이에는 지은지 수십 년이 되는 공장 건물들이 11만여 평의 넓은 부지에 자리하고 있었습니다. 이곳은 SK그룹의 발상지인 선경직물 수원공장 터로서 1953년 창업주인 최종건 회장이 기존 직물 공장을 인수하여 창업한 곳입니다. SK그룹은 한국전쟁으로 잿더미가 된 평동 벌판에서 직기 20대의 설비로 시작하여 지금은 수백 조의 매출을 올리는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였습니다. 현재 선경직물 수원공장 터에는 1944년에 세워진 사무동을 비롯해, 본관과 공장 건물이 남아 있으며 당시 사용하던 집기 일부도 보존되어 있어서, 해방 이후 한국 산업의 역사를 연구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근대문화유산입니다. 

 

처음엔 무슨 경기장(야구장)인줄로만 알았던 곳이다.

에스케이 브이 원 모터스라고 중고차매매단지다.

 

서호천변 길 코스는 생각보다 길었다.

 

평보교를 지나서 중보들 공원으로...

 

최근에 개선공사를 한 거 같다.

깔끔한 공간에 사람이 한 명도 없는 게 왠지 쓸쓸해 보였던 장소.

 

이상한 샛길로 나있는 코스.

 

얘 다리 길이를 보니 이건 100% 아빠가 웰시코기다. 

아무튼 얼굴과 다르게 짧은 다리가 귀여웠다.

 

추억을 싣고 달렸던 수인선

수인선은 수원과 인천을 잇는 옛 철도로 1937년 조선경동철도주식회사 소유의 사립 철도로 세워졌습니다. 수인선은 같은 회사 소속의 수여선(수원-여주)을 인천항까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하기도 했습니다. 서해 바다에서 난 풍부한 소금이 바로 이 수인선을 통해서 내륙지방으로 수송되었고, 내륙의 곡식도 수인선을 통해 일본으로 반출되었습니다. 바로 우리가 교과서에서 배웠던 일제강점기의 '산미 증식 계획'에 따라 조선의 곡식이 일본으로 대량 반출될 때 사용된 것이 바로 이 수인선이니 이 철로에는 민족의 아픔이 서려 있는 셈입니다. 1945년에 해방이 되고서야 수인선은 비로서 조선의 곡식을 일본으로 반출하는 악역을 맡지 않을 수 있었지만 도로교통이 급격하게 발달됨에 따라, 수인선의 역할은 점점 축소되었습니다. 그렇게 우리나라 유일의 협궤열차였던 수인선은, 1995년 12월 31일을 마지막으로 그 운행을 중단합니다. 그리고 더 이상 기차가 달리지 않게 된 철도는 수풀이 무성한 채로 우리 삼남길과 만나게 되었습니다.

 

중독들길 남은 코스는 다음 글에서....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