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의 결말이 전혀 통쾌하거나 만족스럽지 못하다. 뭔가 어색한 연기며 발암캐릭터들 때문이지 보는 내내 짜증만 났을 뿐


 

  • 이번 타이틀은 "스위트 홈(Sweet Home, 2015)"다.
  • 내 개인적인 평점은 10점 중 4점
  • 지극히 개인적이고 주관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편협할 수도 있음
  • 스포일러가 살짝 포함되어 있을 수도 있음.

 

감독: 라파 마르티네스

출연배우: 브루노 세비야(사이먼 역), 잉그리드 가르시아 혼손(알리시아 역), 호세 안토니오 블랑코(라몬 역), 에두아르도 요베라스(두건 쓴 남자 1 역)

장르: 공포

 

 

남자친구 '사이먼'의 생일
인적이 드문 안락한 빌딩에서
로맨틱하고 비밀스러운 파티를 준비한 '알리시아'

둘만의 시간을 보낼 생각으로 들뜬 두 사람
파티를 막 시작하려는 찰나,
그들은 직감적으로 두 사람 이외에 또 다른 누군가가 있음을 느낀다

차가운 공기와 소름끼치는 소음
그들이 볼 수 없는 그 공간에서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일들이 기다리고 있는데....

자, 살고 싶으면 이제 뒤도 돌아보지 말고 뛰어라! (출처 : 보도자료)

KMDb 한국영화데이터베이스
 
스위트 홈
남자친구 '사이먼'의 생일 인적이 드문 안락한 빌딩에서 로맨틱하고 비밀스러운 파티를 준비한 '알리시아' 둘만의 시간을 보낼 생각으로 들뜬 두 사람 파티를 막 시작하려는 찰나, 그들은 직감적으로 두 사람 이외에 또 다른 누군가가 있음을 느낀다. 차가운 공기와 소름끼치는 소음 그들이 볼 수 없는 그 공간에서 상상할 수 없는 끔찍한 일들이 기다리고 있는데... 자, 살고 싶으면 이제 뒤도 돌아보지 말고 뛰어라!
평점
6.8 (2016.05.12 개봉)
감독
라파 마르티네스
출연
브루노 세비야, 잉그리드 가르시아 혼손, 호세 안토니오 블랑코, 에두아르도 요베라스, 루카 페로스

 

반응형

 

- 발암 캐릭터들 때문에 영화를 보는 내내 답답함과 울화통으로 영화를 제대로 즐길수가 없었다. 물론 현실에서 이런 비슷한 상황이 발생한다면야 누구라도 이 커플처럼 겁에 잔뜩질려 소극적으로 행동할 것 같지만 그래도 이건 영환데...

 

- 2015년 제19회 부천판타스틱국제영화제에도 올랐던 작품이다. 영화 내용을 뜯어보면 충분히 그 영화제에 어울릴만한 영화긴하다. 스페인에서는 재건축이나 건축물을 철거할 때 입주민의 60%는 정상적으로 다른 집을 알아보고 이사를 하고, 35%는 개인적인 저항을 하다가 떠나며 5%는 밝혀지지 않았다라는 자막으로 영화는 시작하는데(정확한 수치는 기억이 나질 않는다.) 이 영화는 그 밝혀지지 않은 5%와 관련된 영화며 어려운 형편이지만 행복한 연인의 파멸을 보여준다.

 

- 사업진행을 위해 부동산 중개인이나 브로커들은 5%를 해결하기 위해 해결사들을 고용해 조용히 처리를 한다. 사고사로 위장하는 게 대표적인 방법이다. 사이먼과 알리시아는 넉넉하지 못한 형편으로 사이먼의 생일 파티를 빈 건물에서 하게 된다. 하지만 그 건물은 한 명의 노인이 퇴거를 하지 않은 채 지내고 있어 해결사들이 들이닥치게 되는데 전혀 의외인 연인을 발견하게 되고 그들을 살해하려고 하지만 두 커플은 의외로 강하게 대응을 하게된다. 3명이 들이 닥쳐 일처리를 하다 1명이 되버린 상황에 빠지게 된 해결사는 의뢰자에게 도움을 청하게 되고 한 남자가 나타나게 되는데 그때부터 영화는 본격적으로 시작된다. 

 

- 이 영화의 결론. 생일날이 부고날이 되버린 사이먼이 이 영화에서 가장 불쌍한 캐릭터 중에 하나일 것이다. 해결사의 문제를 해결해주는 해결사는 살인을 즐기며  두 답답이 캐릭터들을 극단의 상황으로 몰게 되는데 너무나도 소극적으로 행동하는 답답함을 보여주다 생일인 남자친구 사이먼이 죽게된다. 각종 도구와 화약약품의 조예가 있는 프로페셔널 해결사는 시간은 걸리지만 아주 확실하게 일처리를 한다. 지하 통로로 도망을 친 알리시아를 붙잡게 되고 다른 희생자들처럼 도구를 이용해 깔끔하게 처리를 하려던 순간 알리시아의 일격을 받고 케이블타이에 목숨을 잃게 된다. 결국 살아남은 알리시아는 괴성을 지르며 오열하게 되는 데, 살아남았다라는 기쁨보다는 자신의 선택으로 남자친구가 죽었다는 죄책감과 상실감 때문에 괴로워 하며 영화는 끝난다.

 

- 앞서 부천판타스틱국제영화제에 어울리는 영화다라고 잠깐 이야기했는데 영화제 성격에 잘 맞는 영화긴하다. 고어적인 요소, 메이저급이 아닌 저예산 수준의 느낌, 공포라는 장르 등 딱 그 영화제에 어울리는 영화였다. 한때 해당 영화제에 언급되었던 영화를 다 챙겨보겠다라는 생각으로 몇 편의 영화를 보긴 했는데 그리 준수한 영화는 아니었다. 캐릭터의 발암 설정이 답답했고 영어와 스페인어를 번갈아 사용하는 좀 이상한 내용상 설정이 마음에 안들었으며(연기가 이상하게 보였다.) 급작스러운 전개와 고어적인 요소 또한 뭔가 어색했다.

 

- 주변에서 누군가 이 영화를 알게되어 보겠다면 시간아깝게 이거 보지 말고 다른 공포영화를 보라고할 정도였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