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제3길 모락산길이다. 모락산길은 옛날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던 이들이 걷던 길이라고 한다. 제3길에는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 묘가 있고, 정조가 능행차길의 중요한 지점인 사근행궁터가 있는 코스다. 이번 길은 코스 중간에 공사구간이 있어 혼란스럽기도 했지만 그 구간이 그리 길지가 않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앞으로 남은 코스 중에 이런 곳들이 자주 나올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시 하고 걸어야할지 아니면 나름 우회로를 설정하여 걸어야 할지 결정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 이제 코스 초반이니 그건 부딪히면 생각하기로 하자.

 

삼남길 제3길(모락산길)

백운호수 → 지지대비( 13.6km, 사근행궁터 경유)

 

스탬프함 위치(2곳)

임영대군 묘역: 임영대군사당 진입로 삼거리(의왕시 내손동 37)

사근행궁터: 의왕시청별관 주차장 입구(의왕시 사그내길 11)

 

경기옛길 공식홈페이지(코스 정보 및 우회길 등 실시간 안내)

경기옛길 (ggcr.kr)

 

경기옛길

경기옛길 - 역사문화탐방로 경기옛길 소개, 도보여행, 역사, 문화유산, 운영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

ggcr.kr

 

지난글: 경기옛길 삼남길 제3길(모락산길) #1

2023.06.27 - [기타] -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제3길(모락산길) #1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제3길(모락산길) #1

제3길 모락산길이다. 모락산길은 옛날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던 이들이 걷던 길이라고 한다. 제3길에는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 묘가 있고, 정조가 능행차길의 중요한 지점인 사근

koolsoul.tistory.com

 

 

시작(2023.3.18.)

모락산으로 들어가기 전 작은 계곡

코스 중 길지 않은 산길이다. 산악자전거를 타는 사람들이 의외로 많았던 곳

이까 가득한 나무

코스 중에 있는 묘목장인데, 요즘은 이런 헤어스타일이 유행인가 보다.

이끼 가득한 나무 2

쓰러진 나무들

리본을 보니 제대로 가고 있는 거 같다.

사람이 거의 없으니 이게 맞는 길인지 아닌지 오로지 애플리케이션에 의지할 수밖에 없다.

그래도 사람 다니는 길인가보다.

왼쪽에는 사유지인듯한데, 오래된 철조망이 쳐있다. 족히 30~40년은 되보이는 철조망이다. 지도를 보니 김징선생묘로 나온다.

오른쪽으로는 농장 비슷한게 있는데 이 길을 따라가다보면 의왕톨게이트다. 

삼미농원이라고 한다. 그 철조망으로 둘러친 곳이... 부지가 어마어마 하네.

계절이 여름이었다면 혹은 봄이었다면 어떤 느낌이었을까? 이대로도 나쁘진 않다.

오매기중간길이라고 불리는 동네. 주소는 경기도 의왕시 오전동.

모락산 둘레길의 종합안내판이다.

모락산 전설부터 여러 볼거리들을 설명해 놓았다.

지나온 길. 길이 생각보다 좁다.

삼남길이야기 게시판이다.

삼남길의 으뜸 풍경, 오매기 마을

오매기마을은 용머리, 목배미, 사나골, 가운데말, 뒷골, 백운동 등의 작은 마을로 구성된 마을입니다. 조선시대에는 '오막동(五幕洞)' 또는 '오마동(五馬洞)'이라고 불렀습니다. '오매기'라는 이름에 대해서는 두 가지 유래가 내려옵니다. 먼저, 문화 류씨를 비롯하여 진씨, 노씨, 마씨, 문씨 등 5개 성씨가 각각 막을 지었고, 이것이 전부 5막(五幕)이어서 여기에서 '오매기'라는 이름이 유래했다는 이야기가 있습니다. 그리고 이 마을의 산세가 5마리의 말이 각기 기수를 태우고 달리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다 하여 '오마동'이라 했다고 전합니다. 오매기마을에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아름다운 풍경입니다. 의왕 시내에서 얼마 떨어지지 않은 마을 이지만 모락산과 어우러진 고즈넉한 마을 풍경은 삼남길에서도 으뜸가는 풍경입니다. 

 

마을 점방 같은 가게 앞에 있던 재털이... 담배 꽁초 아무데나 버리지 말자.

네발 달린 친구들.

오매기가운데말길에 있는 현대식 주택.

이쁜집들이 많았다.

그 가운데 만난 매화꽃. 매화꽃이 맞겠지?

코스가 맞는 지 아닌지 헷갈렸던 곳이다. 그래도 저 표지가 있어서 다행이긴 한데, 여기까지 오는 길이 무슨 공사판에 밭이라 좀 헷갈렸다. 

아무튼 모락산길은 생각보다 사진을 많이 찍어서 다음 편에 이어서 올리도록 해야겠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제3길 모락산길이다. 모락산길은 옛날 과거를 보기 위해 한양으로 가던 이들이 걷던 길이라고 한다. 제3길에는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 묘가 있고, 정조가 능행차길의 중요한 지점인 사근행궁터가 있는 코스다. 이번 길은 코스 중간에 공사구간이 있어 혼란스럽기도 했지만 그 구간이 그리 길지가 않아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다. 그렇지만 앞으로 남은 코스 중에 이런 곳들이 자주 나올 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무시 하고 걸어야할지 아니면 나름 우회로를 설정하여 걸어야 할지 결정해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뭐 이제 코스 초반이니 그건 부딪히면 생각하기로 하자.

 

삼남길 제3길(모락산길)

백운호수 → 지지대비( 13.6km, 사근행궁터 경유)

 

스탬프함 위치(2곳)

임영대군 묘역: 임영대군사당 진입로 삼거리(의왕시 내손동 37)

사근행궁터: 의왕시청별관 주차장 입구(의왕시 사그내길 11)

 

참고(경기옛길 공식홈페이지)

경기옛길 (ggcr.kr)

 

경기옛길

경기옛길 - 역사문화탐방로 경기옛길 소개, 도보여행, 역사, 문화유산, 운영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

ggcr.kr

 

지난글: 경기옛길 삼남길 제2길(인덕원길)

2023.06.19 - [기타] -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제2길(인덕원길)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제2길(인덕원길)

지난번 제1길(한양관문길)을 걷고 난 후 제1길 거리가 상당히 애매해서 제2길도 걷기로 결정했다. 제1길이 9.7Km고 제2길 인덕원길은 3.5Km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크게 무리가 되지 않을 거 같았다

koolsoul.tistory.com

 

 

시작(2023.3.18.)

제3길 모락산길을 알려주는 안내판

난이도가 매우 어려움이다.  그런데 체감상 매우 어려움은 아니고 서울둘레길 중간 정도?

제2길 인덕원길의 끝인 백운호수 주차장과 제3길 모락산길의 시작인 백운호수 뚝방

이른 시간도 아니었지만 유달리 사람이 없었다.

모락산길의 주인공은 백운호수가 아닐까 싶다.

특이한 모습의 식당. 백운호수 주변은 정말 식당이 많다.

땅! 괜찮은 땅이 많나...

사실 좌측의 나무 표지판이 아니었다면 여기가 코스라고 생각할 수가 없었다. 정비가 좀 필요해 보였다.

본격 모락산으로 들어서기 전이다.

나무 마져 넘어져 있다. 저 아래로 통과해야 한다.

그럼 길이 좀 좋아지면서 삼남길 코스라는 것을 알리는 리본이 있다.

270미터를 가면 임영대군 묘역이 나온다. 모락산 둘레길이면서도 각종 걷기 길과 중복된다.

재를 넘으면

임영대군 묘역 및 사당이 나온다.

사당입구와 안내표지

사당 안은 들어가 볼 수 없어서 그냥 담넘어서 사진을 찍어봤다.

임영대군묘역에서 보이는 대나무숲과 풍경

임영대군묘역을 지나 조금 내려오다보면 작은 연못이 하나있다. 여름에 개구리들이 엄청 울어댈거 같은 무지개 연못.

무지개 연못 주변에 있던 이쁜 집

모락산길 첫번째 스탬프함이다 임영대군 묘역에서 내려오다보면 전봇대 옆에 딱하고 보인다. <임영대군사당 진입로 삼거리(의왕시 내손동 37)>

모락산 이름 이야기

의왕시를 대표하는 산인 모락산은 의왕팔경(義王八景)의 하나로 의왕시민의 사랑을 받고 있는 명산이다. 구전에 의하면 삼국시대에는 취기산(就其山)으로 불리다가 고려시대에는 갈산(葛山)으로도 불렸었다고 한다. 조선조 세종대왕의 넷째아들인 임영대군(臨瀛大君) 이구(李璆)<1418~1469>는 둘째형인 세조(世祖)가 셋째형인 안평대군(安平大君)을 죽이고 조카인 단종(端宗)을 폐위시켜 왕위에 오르자 신변의 위협을 느꼈고, 몰래 이곳으로 피신하여 절터골로 불리던 계곡에 토굴을 파고 숨어 지내면서 매일같이 산 정상에 올라 풍우한서(風雨寒暑)를 무릎쓰고 대궐을 향하여 망배례(望拜禮)를 드리며 종묘사직(宗廟社稷)과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였다. 또한 조카인 단종을 추모하는 마음이 사무처 수시로 유배지인 영월쪽을 향해서도 절하였다고 한다. 그로부터 '서울을 사모하는 산'이란 뜻으로 그리움을 뜻하는 모(慕)자와, 서울 락(洛)자를 써서 모락산(慕洛山)으로 불려오고 있다. 모락산 정상부근 서쪽에 있는 사인암(舍人巖)에서 보면 서울이 한 눈에 들어오며, 멀리 서해바다까지 볼 수 있다.(해발 385m)

 

우물이다. 

한때는 마을사람들이 사용하는 우물터가 아니였을까 추측해본다. 지금은 농사용과 허드렛물로 사용하는 것 같다.

상당히 높게 자란 나무. 멋있어서 역광이지만 찍어봤다.

모과나무와 이끼낀 돌

마지와 심슨ㅎㅎㅎ

사진이 작게 보여 느낌이 덜하지만 저 나무가 나름 인상적인 가지를 주렁주렁 매달고 있었다.

 

1부는 여기까지 다음은 2부에서....

728x90
반응형
반응형

지난번 제1길(한양관문길)을 걷고 난 후 제1길 거리가 상당히 애매해서 제2길도 걷기로 결정했다. 제1길이 9.7Km고 제2길 인덕원길은 3.5Km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크게 무리가 되지 않을 거 같았다. 아무튼 인덕원길은 인덕원 옛터에서 백운호수 입구까지이며 옛길 교통의 중심지로 불리웠다고 한다. 인덕원은 과천과 안양, 그리고 의왕을 잇는 삼남대로 요지로 옛길과 관련된 문헌에서 빠지지 않고 등장하는 곳이라고 한다. 교통의 요지였기 때문에 옛날부터 이곳을 찾는 사람들이 많았고 자연스럽게 주막과 가게들이 많이 생겨났다고 한다. 지금도 여전히 북적북적한 느낌과 복잡한 느낌이 있는 곳이기도 하다. 아무튼 학의천을 따라 백운호수로 가보자.

 

삼남길 제2길(인덕원길)

인덕원 옛터 → 백운호수 입구(3.5km)

 

스탬프함

1곳(인덕원터 표석 옆-주차된 차량들 때문에 잘 안 보일 수도 있다)

 

참고(경기옛길 공식홈페이지)

경기옛길 (ggcr.kr)

 

경기옛길

경기옛길 - 역사문화탐방로 경기옛길 소개, 도보여행, 역사, 문화유산, 운영프로그램 등 정보 제공.

ggcr.kr

 

지난글: 경기옛길 삼남길 1코스(한양관문길) #3

2023.06.14 - [기타] -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1코스(한양관문길) #3

 

[도보 여행] 경기옛길 삼남길 1코스(한양관문길) #3

서울둘레길을 끝내고 바로 경기옛길에 대해서 알게 되서 도전하기 시작했다. 6개의 길 중에 삼남길의 경우는 집에서 가까운 곳에 코스가 있어 삼남길부터 시작하게 되었는데 서울둘레길과는 또

koolsoul.tistory.com

 

시작(2023. 3.11.)

제2길 인덕원길 시작을 알리는 안내판

인덕원길은 거리가 거리인 만큼 스탬프가 하나다. 인덕원터 표지석 앞에 있다.

참고로 이 앞에 주차된 차량이 은근 많다. 처음 우리도 못찾다가 겨우 찾게 되었는데, 표지석 바로 앞에 있다.

복잡했던 도심지를 지나서 학의천으로 들어왔다. 여기서부터 학의천 천변을 걸어가면 된다. 

조금 걷다가 만난 인덕원교. 수량은 그리 많지 않다.

아파트 촌

산책하는 사람들이 좀 있다.

코스가 이쪽 방면이 아닌데 어쩌다보니까 도로 밑을 걷게 됐다. 정식 코스는 맞은편이다.

걷다가 만난 잔가지가 엄청 많은 버드나무. 가끔 바람에 휘날릴때 보면 귀신 머리같다.

학교 건물처럼 보이는 유수시설

곧 봄이 오겠지..

반응형

의왕의 지명 이야기

'의왕'이라는 지명은 광주군에 속했던 '의곡면'과 '왕륜면'이 합쳐지면서 의곡면의 '의'자와 왕륜면의 '왕'자를 따서 만들어진 것입니다. 이 외에도 의왕에는 재미있는 지명 유래가 많이 남아있습니다. 의왕시 청계동에 있는 '한직골'이라는 마을 이름은 '한적골'이 변한 것으로 보입니다. 옛날에는 이곳에 마을이 없었기 때문에 인덕원에서 광주쪽으로 가는 한적한 길목이라는 의미에서 '한적골'이라고 불렀고, 이것이 변해 '한직골'이 되었다고 합니다. '옥박골'은 청계사로 가는 초입길 왼쪽에 오목하게 들어간 마을입니다. 이곳에는 죄인을 가두는 옥이 있었기 때문에 이 마을을 '옥박골'이라고 불렀고, 이 주변 일대를 '옥터밭'으로 칭했다고 합니다. 백운호수 옆의 모락산 아래는 세종의 넷째 아들인 임영대군의 묘지가 있는 능안마을이 있습니다. 구전에 따르면 조선 제17대 임금인 효종이 승하하자 이 지역이 후보지로 선정되었지만, 이미 임영대군의 묘지가 있었기 때문에 끝내 효종의 묘소를 이 자리로 쓰지 못했고, 그 후로 이 마을은 한 때 능후보지로 거론되었다고 하여 '능안말'이라 부르게 되었습니다.

수도권 제1순환 고속도로

제2길 끝인 백운호수가 이제 200미터 남았다.

여긴 봉담과천대로다.

백운호수에서 내려오는 물

제2길의 끝인 백운호수 공영주차장. 이제 제2길도 끝냈다. 다음 제3길의 맛보기는 아래.

모락산길 안내판과 백운호수

 

제2길은 거리도 짧기 때문에(학의천변을 걷다 보면 바로 백운호수가 나온다.) 금방이었다. 이 날 하루 제1길과 제2길을 마무리 했는데 크게 힘들다기 보단 이전에 걸었던 서울둘레길과는 확실히 성격이 다른 점이 인상적이었다. 다음에는 제3길 모락산길을 올려야지.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